오늘은 풍천장어가 자라는 환경과 함께, 갯벌에서만 얻을 수 있는 특별한 식재료 소개해드릴 예정입니다.
고창 갯벌이 키운 보물, 풍천장어의 비밀
전북 고창은 ‘풍천장어’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곳입니다. ‘풍천(風川)’이라는 이름은 바람이 부는 냇가라는 뜻을 담고 있는데, 여기에는 특별한 배경이 있습니다. 고창의 장어는 단순한 민물장어가 아니라, 바닷물과 민물이 만나는 갯벌 하구에서 자랍니다. 서해의 염분과 내륙의 민물이 섞이는 이 환경은 영양이 풍부하고 산소 공급이 원활하여 장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특히 고창 선운산 아래의 ‘풍천’ 지역은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갯벌 생태계가 발달해 장어 먹이가 풍부합니다. 이런 환경 덕분에 풍천장어는 육질이 단단하고 기름기가 적당히 올라, 다른 지역의 장어와 비교해도 맛과 식감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고창 주민들에게 풍천장어는 단순한 식재료가 아니라 지역의 자부심을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풍천장어는 조리 방식도 다양합니다. 숯불에 구워내는 장어구이는 고소한 향과 담백한 맛이 조화를 이루고, 장어탕은 보양식으로 널리 사랑받습니다. 예부터 여름철 복날이면 고창 사람들은 더위를 이기기 위해 장어를 즐겨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고창 풍천장어가 단순히 ‘먹거리’가 아닌 ‘고창의 브랜드’로 자리 잡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갯벌이 주는 또 다른 선물, 숨은 로컬 식재료
고창의 풍천장어가 자라는 갯벌은 단순히 장어의 서식지일 뿐 아니라, 수많은 해산물이 살아 숨 쉬는 생명의 터전입니다. 이곳 갯벌에서는 다른 지역에서는 쉽게 맛볼 수 없는 특별한 로컬 식재료가 나옵니다.
① 바지락
고창 갯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지락은 시원한 국물 맛으로 사랑받습니다. 특히 갯벌에서 자란 바지락은 살이 통통하고 감칠맛이 뛰어나, 조개탕이나 된장국, 칼국수의 깊은 맛을 책임집니다.
② 새조개
겨울철 별미로 꼽히는 새조개도 고창 갯벌에서 얻을 수 있는 보물 중 하나입니다. 조개의 모양이 새의 부리와 닮아 이름 붙여졌으며,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먹으면 바다 향이 입안 가득 퍼집니다.
③ 맛조개
길게 파묻혀 있는 맛조개는 모래사장에서 소금을 뿌리면 불쑥 올라오는 모습이 재미있어 체험학습으로도 인기가 많습니다. 쫄깃한 식감이 일품이며, 볶음이나 국으로 즐겨 먹습니다.
④ 낙지
고창 갯벌의 대표적인 또 다른 주인공은 낙지입니다. 특히 가을철 ‘쫄깃한 세발낙지’는 힘이 넘치고 감칠맛이 강해, 낙지볶음이나 연포탕으로 인기를 끕니다. 장어와 함께 고창의 보양식 쌍두마차라 할 만합니다.
⑤ 갯벌 해초
고창 갯벌은 해조류도 풍부합니다. 꼬시래기, 파래 같은 해초는 밥반찬으로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습니다. 특히 파래김은 독특한 향과 바삭한 식감으로 고창 특산품으로도 유명합니다.
이렇듯 고창의 갯벌은 풍천장어만의 서식지가 아니라, 수많은 해산물과 해초가 공존하는 ‘바다의 밭’이자 ‘로컬푸드 보고’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통과 현대를 잇는 고창 갯벌 식문화
풍천장어와 갯벌 해산물은 고창 사람들의 식탁을 오랫동안 지켜온 전통 음식이자, 현대적으로도 재해석될 수 있는 매력적인 식재료입니다.
예전에는 장어를 단순히 구워 먹거나 탕으로 즐겼다면, 최근에는 장어덮밥, 장어스시, 장어파스타 같은 퓨전 요리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장어의 담백한 맛과 영양은 어떤 요리와도 잘 어울리며, 특히 현대인의 건강 지향적인 식습관에 맞아 떨어집니다.
갯벌 해산물 역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바지락은 파스타나 리조토로 변신할 수 있고, 새조개는 샤브샤브로 즐기면 육질의 달콤함을 온전히 느낄 수 있습니다. 낙지는 매콤한 볶음뿐만 아니라 샐러드나 스튜에도 응용할 수 있습니다. 파래는 크래커와 곁들여 서양식 안주로도 손색없습니다.
더 나아가, 고창 갯벌은 단순한 식재료의 원천을 넘어 관광 자원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직접 갯벌에서 조개를 캐고, 갓 잡은 장어와 해산물을 맛보는 체험은 도시에서는 느낄 수 없는 특별한 경험입니다. 이는 단순히 ‘먹는 즐거움’을 넘어, 지역과 사람, 자연이 함께 어우러지는 문화적 가치를 만들어냅니다.
결국 고창의 풍천장어와 갯벌 식재료는 ‘전통’과 ‘현대’를 잇는 다리라 할 수 있습니다. 과거 어촌의 소박한 밥상에서 시작해, 오늘날 건강식과 퓨전 요리에 이르기까지, 고창 갯벌은 여전히 살아 있는 삶의 터전이자 미래로 나아갈 힘을 품고 있습니다.
전북 고창의 갯벌은 단순히 바닷물이 드나드는 공간이 아니라, 수많은 생명을 길러내는 삶의 터전입니다. 그 속에서 자란 풍천장어는 고창을 대표하는 자부심이자, 한국의 보양식 문화를 상징하는 존재입니다. 여기에 바지락, 새조개, 맛조개, 낙지, 파래 등 갯벌이 주는 다양한 선물은 고창 식문화의 풍요로움을 보여줍니다.
이제 우리는 풍천장어와 갯벌 식재료를 단순한 지역 특산물로 보지 않고, 지속 가능한 먹거리와 지역 문화를 함께 아우르는 소중한 자산으로 바라봐야 할 때입니다. 고창의 바다와 갯벌이 품은 이야기를 식탁 위에서, 그리고 여행지에서 직접 경험해보는 건 어떨까요?